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탄핵 선고 후 조기 대선 일정 대선 후보 임기

by 반짝이는 똥그리 2025. 4. 2.

2025년 4월 4일 11시, 드디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선고일이 다가왔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결과를 기다리며 조기 대선 가능성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4년 전 정부 기관에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 이후 가장 유력한 조기 대선 일정 및 예상 되는 대선 후보 그리고 당선 시 임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가장 유력한 조기 대선 일정

조기-대선조기-대선

현재 정치권에서는 5월 말에서 6월 초 사이가 가장 유력한 조기 대선 일정으로 거론됩니다.
특히, 2025년 5월 27일(화) 또는 6월 3일(화)이 실질적인 대선일로 예측됩니다.

 

헌법 제68조 제2항(대통령이 궐위(관직이 비워짐)된 때에는 60일 이내 후임자를 선거해야한다)에 의거하여 이번 조기 대선 일정이 결정 됩니다. 
 
이는 공휴일(5월 1일 노동절, 5월 5일 어린이날 등)이 겹치지 않는 평일이며, 선거 준비와 투표소 운영에 적합한 날짜입니다.
 

조기 대선 후보

현재 여야의 정치적 상황과 지지율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유력한 대선 후보로 주목받습니다.

 

조기 대선 더불어민주당 국민의 힘 제3당
후보 이재명 한동훈 이준석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은 2022년 대선에서 근소한 차이로 패배한 이재명 대표가 여전히 강력한 후보로 꼽힙니다. 이 대표는 최근 공직선거법 위반 재판에서 1심 피선거권 박탈형을 받았으나, 항소심 결과에 따라 출마 가능성이 좌우됩니다.

국민의힘
국민의힘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당이 큰 혼란에 빠진 가운데, 당권을 둘러싼 내홍이 변수로 작용합니다.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중도 보수층에서 지지를 받으며 유력 후보로 거론되지만, 당내 친윤계와의 갈등이 걸림돌입니다.

조기-대선조기대선조기-대선


제3지대 및 기타
조국혁신당의 조국 대표는 진보층에서 강한 지지를 받으며, 탄핵 정국에서 존재감을 키웁니다. 다만, 조국 대표 역시 사법 리스크로 출마가 불확실합니다.
개혁신당의 이준석 대표도 젊은 층을 중심으로 주목받으며, 제3지대 단일화 가능성을 열어둡니다. 정의당에서는 심상정 의원이 재도전할 가능성이 있지만, 당의 낮은 지지율이 한계로 지적됩니다.

후보 등록은 선거일 24일 전부터 이틀간 진행되며, 예비후보 등록은 선고 직후부터 가능합니다. 따라서 5월 대선이라면 5월 초에 후보가 확정됩니다.
이번 대선은 짧은 준비 기간 탓에 기존 정치인의 인지도와 조직력이 승패를 가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당선 시 임기

조기 대선으로 당선된 대통령의 임기는 헌법에 따라 궐위된 전임자의 남은 임기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당선일로부터 새롭게 5년으로 시작됩니다.

 

이는 헌법 제70조에서 대통령 임기를 5년으로 규정하며, 궐위 시 후임자가 새 임기를 시작하도록 한 점에서 명확합니다.
예를 들어, 윤석열 대통령의 원래 임기는 2027년 5월 9일까지였으나, 탄핵 인용 시 후임자는 2025년 5월 또는 6월 취임 후 2030년 5월 또는 6월까지 5년간 재임합니다.

과거 사례를 보면, 2017년 박근혜 탄핵 후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7년 5월 10일 취임하여 2022년 5월 9일까지 임기를 수행합니다.

결론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의 결과에 따라 조기 대선 일정은 2025년 5월 말에서 6월 초가 가장 유력하며, 이는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근거한 예측입니다.
대선 후보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한동훈 등 주요 인물이 거론되며, 제3지대도 변수로 작용합니다.
당선 시 임기는 5년으로, 2025년 취임 후 2030년까지 이어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