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31일부터 공매도 재개로 인해 주식시장이 난리가 났습니다.
이번 공매도 재개는 모든 상장 종목이 공매도 대상이기 때문에 우리가 가진 종목도 공매도 대상이 되었습니다.
저도 주식을 하기 때문에 내가 가진게 공매도 대상인지 거래가 어떻게 되고 있는지 궁금했는데요.
공매도 잔고 수량과 거래량 보는 방법에 대해 아래 본문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공매도 잔고 바로 확인하러가기

목차
공매도 현황 확인 방법
1. 한국거래소(KRX) 공매도 종합 포털


한국거래소에서 제공하는 공매도 종합 포털을 통해 개별 종목의 공매도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 방법>
-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 접속
- 상단 메뉴에서 ‘통계’ 클릭 → ‘공매도 통계’ 선택
- 검색창에 종목명 또는 종목 코드 입력 후 조회
- 공매도 거래량, 공매도 잔고 수량, 공매도 비중 확인
📌 참고사항
- 공매도 잔고 수량이 0이 아니면, 해당 종목에 공매도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공매도 비중이 높을수록 하락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공매도 잔고는 상장주식수 대비 0.01% 이상일 경우 보고 의무가 발생하므로, 잔고 수량이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도 체크하세요.
- 잔고가 감소하면 숏커버링(공매도 세력이 주식을 다시 매수해 갚는 것)으로 인해 주가 반등 가능성이 커집니다.
2. 증권사 HTS/MTS에서 확인


삼성증권, NH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대부분의 증권사에서는 HTS(홈트레이딩 시스템)나 MTS(모바일트레이딩 시스템)를 통해 공매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확인 방법>
- 증권사 앱 또는 HTS 로그인
- 보유 종목 또는 관심 종목 검색
- ‘공매도 현황’ 또는 ‘공매도 잔고’ 탭 확인
- 일별 공매도 수량, 비율, 잔고 조회
📌 주의사항
- 공매도 수량이 증가하면, 공매도 세력이 활발하게 매도 중이라는 신호입니다.
- 공매도 비율이 높아질수록 주가 하락 압력이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3. 네이버 증권에서 확인
PC나 모바일에서 쉽게 공매도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 방법>
- 네이버 증권 접속
- 종목명 검색
- 종목 페이지에서 ‘공매도 현황’ 클릭
- 일자별 공매도 수량, 금액, 비율 확인
4. 대차잔고 확인 (공매도 선행지표 활용)
공매도는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는 방식이므로, **대차잔고(주식을 빌린 수량)**를 확인하면 공매도 가능성을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
<확인 방법>
- 한국예탁결제원 SEIBro 접속
- ‘종목별 대차거래 현황’ 메뉴에서 종목명 검색
- 대차잔고 수량 확인
📌 참고사항
- 대차잔고가 증가하면, 공매도 물량이 나올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추가 팁 & 주의사항


공매도 잔고 상위 종목 확인
- 한국거래소에서 **‘공매도 잔고 상위 50종목’**을 제공하므로 확인해보세요.
- 내 종목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면, 공매도 세력의 타겟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장 상황 고려
- 오늘(2025년 3월 31일) 공매도 재개 첫날, 코스피가 2500선 아래로 떨어지는 등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공매도 잔고가 높은 종목은 하락 압력이 더 강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시장 흐름을 모니터링하세요.
숏커버링 가능성 체크
- 공매도 잔고가 급감하면 숏커버링(매수로 인한 주가 반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추세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세요.
📌 결론
공매도 현황을 단순 참고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매도 수치만 보고 매매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종목의 펀더멘털과 시장 흐름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세요!
반응형